de31f6d19f5effab45fe40683bd49f93_1620148458_5076.jpg
 

뉴스 분류

내달 시행되는 개정 SAT 꼼꼼히 들여다보니

작성자 정보

  • 샌코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영어, 단어 쉬워지나 뜻 알아야 문맥 파악
수학, 출제범위 좁아졌지만 난이도 상승

드디어 내달 5일부터 새로 바뀌는 SAT가 시행된다. 대입시험을 관장해온 칼리지보드가 지난해부터 웹사이트에 공개한 수백 여개의 예시문제를 보면 지문의 난이도는 낮아지고 질문에 사용된 어휘력 역시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 한해동안 ACT 시험에 몰렸던 지원자가 다시 개정SAT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시험을 앞둔 학생들을 위해 개정 SAT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했다.

단어

개정 SAT의 가장 큰 변화다. 개정판 시험에는 학생들이 대학과 사회생활에서 자주 사용할 단어를 사용한 문제가 출제된다. SAT는 그동안 학교나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해온 단어 대신 전문어를 사용해 문제를 출제해왔다. 이 때문에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한인 등 소수계와 이민자 학생들은 시험에 불리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obsequious(비굴한)', 'propinquity(근접)', 'enervation(기력)', 'lachrymose(걸핏하면 잘 우는)' 등의 난해한 어휘 대신에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들로 문제가 출제된다.

독해와 문법

독해 부문의 경우 지문의 영역이 독립선언문이나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쓴 '버밍햄 감옥에서 쓴 편지' '나에겐 꿈이 있어요' 등 건국이나 시민권과 관련한 유명 지문부터 과학, 역사, 사회 등까지 다양해진다. 출제 지문에 대한 범위가 명확해지면서 지문의 난도 파악이 쉬워졌지만 대신 자주 활용하는 단어의 정확한 뜻이나 쓰임새를 문맥 안에서 파악해야 문제를 이해할 수 있다.

지문 내용은 500~750자 정도로 조금 길어진다. 기본적으로 학생들은 제시된 지문이나 자료를 읽고 증거를 제시하고 내용을 분석하며 작가의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 또 제시된 자료나 지문에서 잘못 분석한 부분이 있는지, 자료와 지문의 차이점을 구별할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문제도 출제된다. 시험 문제는 논픽션까지 광범위해져 학생들의 독서량에 따라 시험의 난이도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또 빈칸 채우기, 문법 객관식 문제처럼 지문을 이해하지 못해도 풀 수 있던 문제는 더 이상 없다. 대신 그래프나 표를 분석하는 '통합형 문제'가 등장한다.

수학

자료 분석력과 문제 해결능력을 파악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시험은 크게 대수학(Algebra)과 고급 수학(Advanced Math), 자료분석 3가지 영역에서 방정식과 함수, 비례연산 관련 문제가 출제된다. 수학의 경우 출제 분야와 범위는 좁혀졌지만 난이도는 높아졌다. 특히 일부 영역에서 계산기 사용을 제한해 얼마만큼 문제를 이해하고 풀어나가는지가 고득점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 형식의 변화

에세이의 경우 지금까지는 출제된 에세이 주제를 읽고 자신의 주장이나 경험을 쓰는 주관식이었다면 앞으로는 주어진 지문을 읽고 글쓴이의 의도를 해석하고 논증하는 객관식으로 작성해야 한다. 객관식 문항은 오지선다형에서 사지선다형으로 바뀐다.

그외에 다지선다형 문제에서 답을 잘못 고르면 감점했던 제도는 폐지된다. 기존의 SAT는 잘못된 답을 표시할 경우 0.25포인트를 감점해 학생들이 정답을 추측해 적는 행동을 막았다. 하지만 앞으로는 정답을 추측해 표시해도 이에 따른 감점은 없다.

시험시간

출제되는 문제 개수와 시험시간이 줄어든다. 현재 '독해', 에세이가 포함된 '문법', '수학'으로 영역이 나뉘어 총 3시간 45분을 치러야 하지만 개정 시험은 '독해와 문법(evidence-based reading and writing)', '수학'으로 나뉘어 시험 시간도 총 3시간으로 단축된다. 단, 에세이 시험에 응시할 경우 종전보다 2배인 50분이 추가된다. 시험 문제는 그동안 '독해' 부문에서 67문항, '문법'에서 60문항, 수학 '54문항'과 에세이로 나뉘어져 총 171개 문제가 출제됐다. 하지만 앞으로는 독해 52문항, 문법과 언어 44문항, 수학 57문항으로 총 153개 문제가 나온다. 에세이는 선택할 수 있다.

점수 채점

점수 채점은 2개 영역에서 각각 800점씩, 총 1600점 만점으로 바뀐다. 에세이는 학생이나 대학에서 요구할 경우 점수를 선택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채점은 별도로 이뤄지고 총점(1600점)에 반영하지 않는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61 / 1 Page
RSS
번호
제목
이름

알림 0